[마을신문 금천in] '어린이는 100살 축하해요' 금천어린이큰잔치를 만드는 사람들을 소개합니다 (2022.05.05)
페이지 정보

본문
보도처 : 마을신문 금천in
보도일 : 2022.05.05
'어린이는 100살 축하해요' 금천어린이큰잔치를 만드는 사람들을 소개합니다
○ 교육나눔 협동조합
우리동네 호암산성이 있는 것을 아시나요? 정조대왕의 시흥행궁도 있답니다. 이런 지역향토역사를 아이들과 함께 배우기도 하고, 우리동네문화해설사 양성도 하는 협동조합니다. 특히 초등3학년 친구들과는 ‘우리동네 척척박사’로 만나고 있습니다. 문의 02-802-1101
○ 금빛노을인형극단
동화같은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시니어들이 노년을 좀더 보람 있게 보내고 싶어 창단한 찾아가는 인형극단입니다 전래동화, 명작동화를 비롯해 금천구 역사 인형극도 만들어 노인시설과 아이들이 있는곳을 찾아가 공연하고 있습니다. 노인들과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활동 하고 있습니다
○ 가산마을방송국
가산마을방송국은 가산동주민들이 만들어가는 방송입니다. 주민자치의 시대! 우리마을의 목소리를 담아 주민과 함께 주민의 힘으로 더 나은 마을만들기에 앞장서는 ‘가산마을방송국’을 유튜브검색으로 만나세요
○ 노플맘
노플라스틱의 줄임말로, 시흥5동 백산초 인근에 제로웨이스트 샵 도너리를 오픈하고, 지역사회에서 노플라스틱 등 환경운동이 더 퍼지기를 바라며 활동하고 있어요.
인스타그램 @nopl_mom
○ 청담종합사회복지관
‘참 좋은 이웃과 함께하는 열린 복지관!’ 아동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그램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주민과 함께 지역복지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금천교육복지센터
아동청소년의 꿈을 디자인하는 교육복지플랫폼으로 학교와 지역을 잇는 허브기관입니다. www.3355center.org
○ 산아래문화학교
학습의 즐거움을 함께하고 생활을 나누는 마을학교로 문화예술과 관련된 활동들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
지역의 독서문화와 균형 있는 도서관 환경을 조성하여 책문화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지역 어린이와 주민들의 복합문화공간 역할을 수행하는 사립작은도서관입니다. 책과 아이들을 좋아하는 어른들이 20년째 마음 모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한울노리 춤바타
동네 속 동아리가 한자리에...누구나 즐기며 쉬어가는 한울노리 춤바타. 즐겁다! 행복하다! 스트레스 해소된다! 모여서 함께 놀아요.
https://band.us/n/a4a476E8z2b1x
○금천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회적경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주민, 소상공인, 사회적경제기업 등 지역 경제 주체가 사회적경제 기반의 다양한 활동을 준비하고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 마젠마
마을에서 젠더를 마주하다로 여성의 사회적 성장을 위해 서로 배우고 지지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마젠마활동은 네이버까페 마젠마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천한우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소비자가 출자하여 만든 소비자생활협동조합으로 협동조합의 가치를 믿으며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고 행동합니다. 친환경 유기농 식품매장인 자연드림을 운영하며, 너와 나 우리의 치유와 지구의 쿨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 동네책방 원테이블
시흥5동의 아주 오래된 단독주택을 얻어 하나하나 채워가고 있는 작은 책방입니다. 동네 사람들과 사부작 사부작 함께 하는 만들어가는 동네문화공간으로 운영 중입니다
○ 금천GC생태포럼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정신을 결집하여 살아 숨쉬는 산천초목과 더불어 바람직한 정서함양 및 건강증진을 나누는 동시에 인심좋은 미풍양속과 자연스러운 생태환경을 가꾸고 보듬어 후손에게 당당히 물려주고자 모두의 정성을 기울고 있어요
○ 토미구움 도예공방
천연생활도자기기를 만드는 공방으로 성인, 직장이, 어린이 수강생도 함께합니다. 학교나 단체, 기관에도 도예체험 강의도 진행합니다.
○ 건강한농부사회적협동조합
‘밥을 주는 복지가 아니라 나를 위한, 우리를 위한 밥상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동네부엌 활짝’을 운영하며 로컬푸드, 직거래 농산물을 이용한 케이터링, 도시락, 반찬 판매사업을 진행하고,수익금의 일부로 ‘어린이식당 튼튼’도 운영합니다
○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
도시농업을 통하여 농업의 다원적 가치를 도시민들에게 확산시키고, 도시환경, 도시공동체운동과 사회복지운동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광명에 한내텃밭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우리동네정치살롱
다가오는 지방선거. 동네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직접 우리동네 공약을 만드는 과정을 함게하고 있습니다. 선거가 주권자인 주민들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애쓰고 있습니다.
○ 금천구주거안심종합센터
주거문제나 욕구를 가진 금천구민을 대상으로 공공부문의 제도를 안내/연계하고, 사각지대를 메우기위한 현장밀착형 상담 및 사례관리 수행하고 있습니다.
○ 라디오금천
‘당신은 우리마을 라디오스타~’ 이제 많은 주민들이 미디어의 생산자가 되고 있습니다. 혼자가 아니라 ‘함께’ 방송을 만들 수 있답니다. 언제든 문을 두드리세요. 문의 ragcfm@gmail.com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학교에서 경험하는 삶이 곧 민주시민 교육이라는 생각에 평가를 위한 교육이 아닌 ‘삶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초·중·고등학교에 계신 선생님들이 함께 연구하며 실천하고 있습니다.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금천구지회
권력과 가진자들에 의하여 흔들려온 공직사회를 곧 추세우고, 오랜 세월 부정과 부패로 얼룩져온 공직사회를 내부로부터 혁신함으로써 올바른 나라, 상식과 정의가 바로서는 나라를 만드는데 주체가 될 것입니다
○ 가산동, 시흥2동, 4동, 5동 주민자치회
주민자치회는 동 지역사회 주민대표 기구로써 자치계획 수립 및 실행, 주민참여예산의 제안과 편성, 자치회관 운영 등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주민자치 조직입니다. 주민자치회의 자율적인 조직과 운영주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 행정사무의 협의, 자치계획 수립, 주민총회 개최 등 자치활동의 민주적 의사결정과정 수행, 주민참여예산의 제안 등 동 지역회의가 수행하는 기능,그 밖에 각종 교육, 행사, 미디어, 기금 등 주민자치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gcinnews@gmail.com
저작권자 © 마을신문 금천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마을신문 금천in(http://www.gcinnews.com)
보도일 : 2022.05.05
'어린이는 100살 축하해요' 금천어린이큰잔치를 만드는 사람들을 소개합니다
○ 교육나눔 협동조합
우리동네 호암산성이 있는 것을 아시나요? 정조대왕의 시흥행궁도 있답니다. 이런 지역향토역사를 아이들과 함께 배우기도 하고, 우리동네문화해설사 양성도 하는 협동조합니다. 특히 초등3학년 친구들과는 ‘우리동네 척척박사’로 만나고 있습니다. 문의 02-802-1101
○ 금빛노을인형극단
동화같은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시니어들이 노년을 좀더 보람 있게 보내고 싶어 창단한 찾아가는 인형극단입니다 전래동화, 명작동화를 비롯해 금천구 역사 인형극도 만들어 노인시설과 아이들이 있는곳을 찾아가 공연하고 있습니다. 노인들과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활동 하고 있습니다
○ 가산마을방송국
가산마을방송국은 가산동주민들이 만들어가는 방송입니다. 주민자치의 시대! 우리마을의 목소리를 담아 주민과 함께 주민의 힘으로 더 나은 마을만들기에 앞장서는 ‘가산마을방송국’을 유튜브검색으로 만나세요
○ 노플맘
노플라스틱의 줄임말로, 시흥5동 백산초 인근에 제로웨이스트 샵 도너리를 오픈하고, 지역사회에서 노플라스틱 등 환경운동이 더 퍼지기를 바라며 활동하고 있어요.
인스타그램 @nopl_mom
○ 청담종합사회복지관
‘참 좋은 이웃과 함께하는 열린 복지관!’ 아동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그램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주민과 함께 지역복지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금천교육복지센터
아동청소년의 꿈을 디자인하는 교육복지플랫폼으로 학교와 지역을 잇는 허브기관입니다. www.3355center.org
○ 산아래문화학교
학습의 즐거움을 함께하고 생활을 나누는 마을학교로 문화예술과 관련된 활동들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
지역의 독서문화와 균형 있는 도서관 환경을 조성하여 책문화사업을 전개함으로써 지역 어린이와 주민들의 복합문화공간 역할을 수행하는 사립작은도서관입니다. 책과 아이들을 좋아하는 어른들이 20년째 마음 모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한울노리 춤바타
동네 속 동아리가 한자리에...누구나 즐기며 쉬어가는 한울노리 춤바타. 즐겁다! 행복하다! 스트레스 해소된다! 모여서 함께 놀아요.
https://band.us/n/a4a476E8z2b1x
○금천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회적경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주민, 소상공인, 사회적경제기업 등 지역 경제 주체가 사회적경제 기반의 다양한 활동을 준비하고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 마젠마
마을에서 젠더를 마주하다로 여성의 사회적 성장을 위해 서로 배우고 지지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마젠마활동은 네이버까페 마젠마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천한우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소비자가 출자하여 만든 소비자생활협동조합으로 협동조합의 가치를 믿으며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고 행동합니다. 친환경 유기농 식품매장인 자연드림을 운영하며, 너와 나 우리의 치유와 지구의 쿨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 동네책방 원테이블
시흥5동의 아주 오래된 단독주택을 얻어 하나하나 채워가고 있는 작은 책방입니다. 동네 사람들과 사부작 사부작 함께 하는 만들어가는 동네문화공간으로 운영 중입니다
○ 금천GC생태포럼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정신을 결집하여 살아 숨쉬는 산천초목과 더불어 바람직한 정서함양 및 건강증진을 나누는 동시에 인심좋은 미풍양속과 자연스러운 생태환경을 가꾸고 보듬어 후손에게 당당히 물려주고자 모두의 정성을 기울고 있어요
○ 토미구움 도예공방
천연생활도자기기를 만드는 공방으로 성인, 직장이, 어린이 수강생도 함께합니다. 학교나 단체, 기관에도 도예체험 강의도 진행합니다.
○ 건강한농부사회적협동조합
‘밥을 주는 복지가 아니라 나를 위한, 우리를 위한 밥상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동네부엌 활짝’을 운영하며 로컬푸드, 직거래 농산물을 이용한 케이터링, 도시락, 반찬 판매사업을 진행하고,수익금의 일부로 ‘어린이식당 튼튼’도 운영합니다
○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
도시농업을 통하여 농업의 다원적 가치를 도시민들에게 확산시키고, 도시환경, 도시공동체운동과 사회복지운동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광명에 한내텃밭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우리동네정치살롱
다가오는 지방선거. 동네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직접 우리동네 공약을 만드는 과정을 함게하고 있습니다. 선거가 주권자인 주민들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애쓰고 있습니다.
○ 금천구주거안심종합센터
주거문제나 욕구를 가진 금천구민을 대상으로 공공부문의 제도를 안내/연계하고, 사각지대를 메우기위한 현장밀착형 상담 및 사례관리 수행하고 있습니다.
○ 라디오금천
‘당신은 우리마을 라디오스타~’ 이제 많은 주민들이 미디어의 생산자가 되고 있습니다. 혼자가 아니라 ‘함께’ 방송을 만들 수 있답니다. 언제든 문을 두드리세요. 문의 ragcfm@gmail.com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학교에서 경험하는 삶이 곧 민주시민 교육이라는 생각에 평가를 위한 교육이 아닌 ‘삶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초·중·고등학교에 계신 선생님들이 함께 연구하며 실천하고 있습니다.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금천구지회
권력과 가진자들에 의하여 흔들려온 공직사회를 곧 추세우고, 오랜 세월 부정과 부패로 얼룩져온 공직사회를 내부로부터 혁신함으로써 올바른 나라, 상식과 정의가 바로서는 나라를 만드는데 주체가 될 것입니다
○ 가산동, 시흥2동, 4동, 5동 주민자치회
주민자치회는 동 지역사회 주민대표 기구로써 자치계획 수립 및 실행, 주민참여예산의 제안과 편성, 자치회관 운영 등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주민자치 조직입니다. 주민자치회의 자율적인 조직과 운영주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 행정사무의 협의, 자치계획 수립, 주민총회 개최 등 자치활동의 민주적 의사결정과정 수행, 주민참여예산의 제안 등 동 지역회의가 수행하는 기능,그 밖에 각종 교육, 행사, 미디어, 기금 등 주민자치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gcinnews@gmail.com
저작권자 © 마을신문 금천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마을신문 금천in(http://www.gcinnews.com)
관련링크
- 이전글[마을신문 금천in] 금천구 협동조합, 기후위기 대응에 나선다 (2022.07.07) 22.09.06
- 다음글[마을신문 금천in] 지구의날, 금천주민 공동행동 나서 (2022.04.22) 22.09.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